<MCT 오일>




MCT 오일을 구입했다. 유통기한이 25. 8. 1. 까지인 것이 조금 충격이었지만, 좋은 가격에 좋은 제품을 구입했다는 생각에 마음에 든다.
치매예방, 치매치료, 암 예방, 암 치료, 지방간 치료 등 MCT 오일의 효능이 정말 많기 때문에 스스로 찾아보길 바란다. 나는 얼마 전 읽었던 책 <잠든 당신의 뇌를 깨워라> 덕분에 MCT 오일을 구입하기로 마음먹었다. 뇌를 최대치로 활성화해서 사용하려면 꼭 필요한 오일이라고 해서 큰 마음먹고 구입했다.
하루 45ml 먹는 걸 목표로 먹으면 되는 오일로, 하루에 3번 1 티스푼(15ml)을 먹어도 된다. 음식에 넣어 먹거나 커피 등에 넣어 먹어도 되기 때문에 섭취가 간편하다. 무색, 무행, 무취여서 올리브유보다 먹기 좋다(올리브유는 맵고, 짜고, 매캐한 맛이 난다.). 처음 먹는 사람은 15ml부터 시작해서 천천히 용량을 올려야 하는데, 그 이유는 중쇄지방산이라 몸에 흡수가 잘 돼서 복통과 설사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단다.
이 제품은 닥터지노몰에서 구입했고, 4개를 구입해야 가장 할인율이 높아 4개를 구입했다. 정제방법이 나와 있지 않지만, 닥터 지노 선생님(이진호 원장님)만 믿고 그냥 먹기로 했다. 이 분이 파시는 제품은 제품력이 전부 확실하기 때문이다.
MCT 오일에 대해 찾아보면 효능이 정말 많다. 정제 방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곳에서 만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해야한다. MCT 오일의 경우 적응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다. 드디어 어제부터 먹기 시작했다. 남편과 함께 오늘 아침에도 먹었다. 남편에겐 커피에 타서 마시게 했고(남편은 모름), 나는 그냥 먹었다. 무색, 무향, 무취이기 때문에 섭취가 어렵지 않다. 지방간에 문제가 생겼다는 연구 결과는 헥산 추출 방식으로 추출한 MCT 오일이었다고 하니 걱정할 필요 없이 지방간 치료를 위해 남편에게 먹이기로 했다.
자, 이제 매일 먹어가며 몸에 변화를 직접 느껴볼 차례다.
#MCT오일
#MCT
#중쇄지방산
MCT 오일(Medium-Chain Triglyceride Oil) 완벽 가이드
1. MCT 오일이란?
MCT 오일은 중쇄 지방산(중쇄 트리글리세리드)으로 구성된 오일로, 코코넛 오일이나 팜유에서 추출된다. 탄소 사슬이 짧아 소화와 흡수가 빠르고, 간에서 직접 에너지원으로 변환된다. 일반적인 지방(LCT)보다 체지방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낮아 다이어트와 운동, 뇌 건강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2. MCT 오일의 주요 지방산
MCT 오일은 네 가지 주요 지방산으로 구성된다.
가. C6 (카프로산): 흡수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위장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나. C8 (카프릴산): 에너지원으로 가장 효과적이며, 뇌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 C10 (카프릭산): 면역력 강화 및 에너지원 역할을 한다.
라. C12 (라우르산):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지만 MCT보다는 일반 지방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C8과 C10의 비율이 높은 MCT 오일이 효과적이며, C12는 코코넛 오일 성분에 가깝기 때문에 순수 MCT 오일에서는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3. MCT 오일의 효능
가. 체중 감량 및 지방 연소
1) 빠르게 케톤을 생성하여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돕는다.
2)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식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3) 체지방 감소 연구에서 일반 지방보다 체중 감량 효과가 크다고 보고되었다.
나. 운동 퍼포먼스 향상
1) 운동 전 빠른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근육 손실을 방지하고 회복 속도를 높인다.
3) 마라톤이나 철인 3종 경기 같은 지구력 운동에 적합하다.
다. 뇌 기능 향상 및 치매 예방
1) 포도당 없이도 뇌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2) 알츠하이머 예방 및 인지 기능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라. 장 건강 및 면역력 강화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으며 장내 유익균을 증식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4. 부작용 및 주의사항
가. 소화 장애: 처음 섭취 시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소량(1티스푼)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양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나. 지방간 위험: 과다 섭취할 경우 지방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루 15ml : 2스푼) 정도가 적당하다.
다. 개인별 반응 차이: 일부 사람들은 케톤 수치 증가로 인해 저혈당 상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당뇨 환자는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5. MCT 오일 섭취 방법 및 활용법
가. 섭취 방법
1) 공복에 110ml)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2) 운동 전, 식사 전 또는 간식 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다.
나. 활용법
1) 방탄 커피: MCT 오일과 버터를 커피에 섞어 마시면 뇌 활성화와 식욕 억제 효과가 있다.
2) 스무디 & 쉐이크: 단백질 셰이크나 과일 스무디에 첨가하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샐러드 드레싱: 올리브오일 대신 MCT 오일을 활용할 수 있다.
4) 요리: 고온에서 조리하는 것보다는 차가운 상태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6. 좋은 MCT 오일을 고르는 기준
가. C8과 C10 비율이 높은 제품 선택: C8이 많을수록 에너지원으로 빠르게 전환.
나. 화학 용매(헥산) 없이 추출된 제품 선택: 천연 방식으로 추출된 것이 더 안전.
다. Non-GMO 및 유기농 코코넛 기반 제품 선택: 품질이 높으며 불순물이 적음.
라. C12 비율이 높은 제품은 피하기: 일반적인 코코넛 오일과 차이가 없을 수 있음.
7. MCT 오일 vs 코코넛 오일 차이점
가. MCT 오일은 주로 C8과 C10으로 구성되어 있어 빠르게 흡수되고 케톤 생성이 활발하다.
나. 코코넛 오일은 C12(라우르산) 비율이 높아 항균 및 면역력 강화에는 좋지만 체지방 감량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다.
다. 체중 감량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면 MCT 오일, 면역력 강화를 원한다면 코코넛 오일이 적합하다.
8. 결론
MCT 오일은 빠르게 흡수되어 체지방으로 축적되지 않고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지방으로, 다이어트, 운동 퍼포먼스 향상, 뇌 기능 강화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진다. 그러나 처음에는 적은 양부터 섭취해야 하며, 과다 복용 시 소화 장애나 지방간 위험이 있을 수 있다.
9. MCT 오일이 적합한 사람
가. 저탄수화물 다이어트(Keto, LCHF) 중인 사람
나. 운동 전 빠른 에너지가 필요한 사람
다. 뇌 기능 향상을 원하는 사람
라. 포만감을 높이고 식욕을 조절하고 싶은 사람
10. MCT 오일 섭취 시 주의할 점
가. 처음에는 소량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늘려야 한다.
나. 과다 섭취하면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다. 당뇨나 간 질환이 있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하다.
라. 적절한 방법으로 MCT 오일을 활용하면 체지방 감량과 에너지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11. MCT 오일 참고문헌 및 연구자료
가. St-Onge, M. P., & Bosarge, A. (2008).
Medium-chain triglycerides increase energy expenditure and decrease adiposity in overweight men.
Obesity, 16(2), 423-430.
연구에서 MCT 섭취가 장쇄 지방산(LCT)보다 체지방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이 입증됨.
나. Cunnane, S. C., et al. (2016).
Can ketones compensate for deteriorating brain glucose uptake during aging? Implications for Alzheimer’s disease.
Neurobiology of Aging, 40, 137-143.
MCT 오일에서 생성된 케톤이 뇌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며, 알츠하이머 예방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음.
다. O'Malley, T., Myette-Côté, É., Durrer, C., & Little, J. P. (2017).
Nutritional ketone salts increase fat oxidation but impair high-intensity exercise performance in healthy adult males.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42(10), 1031-1035.
MCT 오일을 통한 케톤 생성이 지구력 운동에는 유리하지만 고강도 운동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함.
라. Tsuji, H., Kasai, M., Takeuchi, H., Nakamura, M., & Okazaki, M. (2001).
Dietary medium-chain triacylglycerols suppress body fat accumulation in healthy men and women.
The Journal of Nutrition, 131(11), 2853-2859.
MCT 섭취가 장기적으로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마. Van Wymelbeke, V., Himaya, A., Louis-Sylvestre, J., & Fantino, M. (1998).
Influence of medium-chain and long-chain triglycerides on the control of food intake in 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8(2), 226-234.
MCT가 식욕 조절과 포만감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바. Brinkworth, G. D., Noakes, M., Clifton, P. M., & Buckley, J. D. (2009).
Weight loss improves heart rate recovery in overweight and obese men with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Obesity, 17(6), 1189-1195.
MCT를 활용한 체중 감량이 대사 건강 및 심혈관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줌.
MCT 오일 추출 방법
MCT 오일은 주로 코코넛 오일이나 팜핵유에서 추출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합니다:
1. 분별 증류 (Fractionation):
가. 원리: 코코넛 오일이나 팜핵유에는 다양한 길이의 지방산 사슬이 섞여 있습니다. 각 지방산은 끓는점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온도를 조절하며 증류하여 MCT (중쇄 지방산)만 분리해 냅니다.
나. 과정:
1) 가수분해 (Hydrolysis): 코코넛 오일이나 팜핵유를 물과 반응시켜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합니다.
2) 증류 (Distillation): 혼합물을 가열하여 끓는점이 낮은 MCT를 먼저 증발시키고, 이를 냉각하여 액체 상태의 MCT 오일을 얻습니다.
3) 정제 (Refining): 불순물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탈색, 탈취 과정을 거쳐 순수한 MCT 오일을 만듭니다.
다. 장점: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비교적 순수한 MCT 오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라. 단점: 높은 온도와 압력이 필요하며,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잔류 용매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조 공정에서는 안전하게 제거됩니다.)
2. 저온 압착 및 분별 (Cold Press & Fractionation):
가. 원리: 낮은 온도에서 압력을 가해 오일을 추출하고, 이후 분별 과정을 통해 MCT를 분리합니다.
나. 과정:
1) 저온 압착 (Cold Press): 코코넛 과육을 낮은 온도에서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합니다.
2) 냉각 및 결정화 (Cooling & Crystallization): 온도를 낮춰 특정 지방산(주로 라우르산)을 결정화시켜 고체 형태로 만듭니다.
3) 분리 (Separation): 고체 지방산과 액체 MCT 오일을 분리합니다.
4) 정제 (Refining):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MCT 오일을 얻습니다.
다. 장점: 화학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영양소 파괴가 적습니다.
라. 단점: 생산 비용이 높고, 수율이 낮아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3. 효소적 방법 (Enzymatic Method):
가. 원리: 특정 효소를 사용하여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거나 재합성하여 MCT를 얻습니다.
나. 과정:
1) 효소 반응: 특정 효소(리파아제 등)를 코코넛 오일이나 팜핵유에 첨가하여 MCT의 비율을 높입니다.
2) 분리 및 정제: 증류, 분별 결정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MCT 오일을 분리하고 정제합니다.
3) 장점: 낮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영양소 손실이 적고, 특정 MCT(예: C8, C10)의 비율을 조절하기 쉽습니다.
다. 단점: 효소 비용이 높고,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라. 결론 : 어떤 추출 방법이 "가장 좋다"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제품의 품질, 순도, 가격, 제조사의 기술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참고문헌
가. 학술 논문:
1) "Medium-Chain Triglycerides: An Update on Their Clinical Use":
* 저자: K. A. Bach, V. K. Babayan
* 출처: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82
* 내용: MCT의 정의, 대사, 임상적 응용과 더불어 초기 연구에서의 생산 방법(분별 증류)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2) "Enzymatic Modification of Coconut Oil: Incorporation of Caprylic Acid into Coconut Oil":
* 저자: K. M. Salleh, et al.
* 출처: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93
* 내용: 효소적 방법을 사용하여 코코넛 오일의 MCT 함량을 높이는 연구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3) "Production of Medium-Chain Triacylglycerols by Lipase-Catalyzed Reactions: A Review":
* 저자: R. D. Yadav, et al.
* 출처: Process Biochemistry, 2003
* 내용: 리파아제를 이용한 MCT 생산에 대한 전반적인 리뷰 논문입니다. 다양한 기질과 효소, 반응 조건 등을 다룹니다.
4) "Fractionation of Coconut Oil by Short Path Distillation"
* 저자: F. Shahidi, X.-Q. Xu
* 출처: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2005
* 내용: 단경로 증류(short path distillation)를 이용한 코코넛 오일 분별에 대한 연구로, MCT를 포함한 다양한 지방산 분획을 얻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허:
5)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medium chain triglycerides" (US Patent US3450743A):
* 출원인: V. K. Babayan (A.C. Humko Corp)
* 내용: 1969년에 출원된 특허로, 초기 MCT 오일 제조 공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분별 증류 기반)
6) "Process for producing medium-chain triglycerides" (US Patent US6875886B2):
* 출원인: Nisshin Oil Mills, Ltd.
* 내용: 효소적 방법을 사용하여 MCT 오일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입니다.
나. 기타 자료:
1) "MCT Oil 101 – A Review of Medium-Chain Triglycerides" (Healthline):
* URL: https://www.healthline.com/nutrition/mct-oil-101
* 내용: 일반인을 위한 MCT 오일에 대한 개요, 효능, 부작용, 추출 방법(간략하게) 등을 설명합니다.
2) Bailey's Industrial Oil and Fat Products (책):
* 저자: Fereidoon Shahidi (Editor)
* 내용: 유지(油脂) 산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으로, MCT 오일을 포함한 다양한 유지의 생산, 가공,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